Category

    [Linux Kernel] 리눅스 커널 Configuring

    아래 글은 리눅스 문서에 작성되어 있는 커널 Configuring에 대한 설명이다.잘 설명되어 있기에 따로 해석하여 적어놓지 않아도 읽어보면 어떻게 사용하여야 하는지 쉽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CONFIGURING the kernel: 154 155 Do not skip this step even if you are only upgrading one minor 156 version. New configuration options are added in each release, and 157 odd problems will turn up if the configuration files are not set up 158 as expected. If you want to carry your existing..

    Graph - 인접 행렬 그래프

    Graph - 인접 행렬 그래프

    이번 시간에는 그래프 소스에 대해 알아본다.행렬을 이용하여 구현하는 방법과 리스트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방법 2가지 인데,먼저 행렬을 이용하여 구현한 인접 행렬 그래프를 알아본다. 그래프의 관련 내용은 검색하면 금방 알아 볼 수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 하지 않는다. 먼저 인접행렬그래프의 헤더파일을 살펴보자. 1. arraygraph.h #ifndef _ARRAYGRAPH_H_#define _ARRAYGRAPH_H_ #define UNDIRECTION 0 //무방향 그래프#define DIRECTION 1 //방향 그래프#define SUCCESS 1 #define FAIL 0#define USE 1#define NOT_USE 0 typedef struct ArrayGraphType{ int maxVer..

    sysfs

    sysfs는 리눅스 커널 2.4에서 /proc 디렉토리 아래에 무질서하게 놓여 있던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들을 리눅스 커널 2.6에서는 sysfs를 이용하여 좀더 체계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습니다. sysfs는 가상 파일 시스템으로 루트 파일 시스템(/)에 sys라는 이름의 디렉토리에 마운트 됩니다. sysfs도 proc파일 시스템 처럼 파일의 읽기/쓰기/변경 등은 그 권한에 따라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sysfs는 하드웨어 구성 정보와 디바이스 드라이버 정보가 통일된 계층으로 보이게 하기 위한 파일 시스템입니다. 이를 위하여,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디바이스들의 연결 관계를 출력하기 위해 kobject라는 데이터 구조를 이용합니다. sysfs는 하드웨어의 핫 플러그도 대응 하며, 핫 ..

    리눅스 소스 사이트

    틈틈이 소스 분석 또는 확인이 필요할 때 이용하는 사이트. http://lxr.linux.no/http://lxr.free-electrons.com/source/

    리눅스 업데이트 주소 변경하기

    Ubuntu 한국 미러링 서버로 기본 설정되어있는 Kaist 서버가 자주 다운되어 업데이트시 서버와 연결이 되지않아 업데이트가 실패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때를 대비하여 업데이트 서버를 Kaist 서버에서 Daum 서버로 바꾸어 주는게 좋습니다. 터미널에서 /etc/apt/sources.list 파일을 편집합니다.sudo vi /etc/apt/sources.list /etc/apt/sorces.list 파일내에 deb, deb-src 로 시작하는 항목의 URL을http://kr.archive.ubuntu.com/ubuntu/ 에서http://ftp.daum.net/ubuntu/ 로 변경해줍니다.참고로 vi 에디터를 이용하는 경우 콜론 모드에서 아래와 같은 치환 명령을 사용하면 됩니다.:%s/kr.ar..

    퍼지 시스템 - #1. 퍼지(Fuzzy)란?

    퍼지사고란? 이번 시간부터 퍼지 알고리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퍼지알고리즘은 퍼지 집합론 또는 퍼지 논리라고도 많이 부르는데요.퍼지 알고리즘은 어떠한 문제에 답이 애매하거나 모호한 경우에어떻게 결론을 내릴까라고 생각하다가 만들어진 것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즉, 답이 1,0으로 나뉘는 이분법 적인 것이 아닌, 0~1까지 그 안에 속하는0.544, 0.81 과 같은 무수히 많은 숫자로 표현을 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봅시다.당신은 지금 친구들과 함께 목욕탕에 갔습니다. 다 같이 온탕에 들어갔는데, 친구들의 반응이 모두 다릅니다. 친구1 : 물이 너무 뜨거워.친구2 : 물 온도는 그렇게 뜨겁지 않은데?친구3 : 물이 뜨겁긴 하지만 그렇게 뜨겁진 않아.나 : 물이 굉장히 너무 뜨거워. 위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