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sP (데이터분석 준전문가)란?
ADsP는 국가공인 자격증으로써 데이터자격검정에서는 아래와 같이 정의하고 있습니다.
데이터분석 준전문가(ADsP : Advanced Data Analytics Semi-Professional)란 데이터 이해에 대한 기본지식을 바탕으로 데이터분석 기획 및 데이터분석 등의 직무를 수행하는 실무자
데이터를 이해하고, 데이터를 어떻게 사용할지 어떤 의미를 부여할지 통찰력을 가지고 기획, 분석을 진행하는 사람을 의미하는 것 같습니다. 물론 대부분의 국가공인 자격증이 그렇듯, 자격증을 취득한다고 정말로 준전문가.. 위에서 의미하는 실무를 수행할 역량이 있는 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왜 ADsP 자격증을 준비, 취득했는가?
이번에 새로 합류한 팀의 프로젝트에서 데이터 분석을 할 일이 생겼습니다. 프로젝트 기획단계에서 데이터 분석 엔진을 이용한 유의미한 데이터 추출 및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기능이 필요로 했습니다. 그 전까지 데이터에 대해서 깊게 생각해본 적도, 공부를 해본 적도 없기에 가벼운 마음으로 전체적인 데이터의 이해를 하기 위해 이 자격증을 준비, 취득하게 되었습니다.
준비 방법
참고서적
http://www.yes24.com/Product/Goods/105996641
2022 ADsP 한 권으로 끝내기 (이론 + 요약, 문제 합본세트) - YES24
5년(13~29회) 기출문제 800 + 예상문제 300, 1100제기업 오프라인 강의에 활용한 쪽집게 강의 포인트 180개자율학습으로 한 달 완성 가능한 체계적인 구성과 내용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에서 실시하
www.yes24.com
위 책을 이용하여 자격증을 준비했습니다. 이 책을 선택한 이유는 단순했습니다. 2022년 ADsP 책 중 가장 먼저 출간되었기 때문입니다. 그 이유 외에는 어떠한 이유도 없었습니다.
공부방법
하루에 한 시간 이상씩은 꾸준히 공부하려고 했습니다. 시험은 크게 3개의 과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데이터 이해
- 데이터 분석 기획
- 데이터 분석
위 3가지 과목을 최소한의 단위로 쪼개고 학습하였습니다. 과년도 문제는 공부하는 중간에 조금씩 같이 풀어나갔습니다. (솔직히 많이 풀진 못했습니다. 과년도 문제는 4회차 정도만 풀었던 것 같습니다.) 모든 과목을 처음부터 끝까지 다 공부를 하였습니다. 이 방법은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개발직군에 있으면서 다양한 분야를 공부하고 경험한 것이 큰 도움이 되어서 조금 빠르게 진도를 나갈 수 있었습니다. 특히 '데이터 분석' 과목의 내용은 80% 정도는 이미 이론을 알거나 실제로 구현 및 프로젝트에 적용해 본 경험이 있던 내용들이라 빠르게 익힐 수 있었습니다.
가장 어려운 부분은 데이터 분석 기획이였습니다. 해당 과목에 대해서는 일체의 경험이 없기에 이해가 쉽지 않았습니다.(저의 경우는 이해를 하지 못하면 암기조차 잘 하지 못하는 타입이라.. 암기는 포기하고 이해하려고 노력했습니다.) 데이터 거버넌스.. 이런 내용들이 어렵긴 했지만, 최대한 이해하고 왜 이런것들이 필요하고 요구되는지부터 생각하고 공부하니 조금은 쉽게 학습할 수 있었습니다. 무조건 외우려는 방법은 절대 추천하고 싶지 않습니다.
추가로 R을 공부해볼겸 모든 알고리즘에 대하여 R을 이용하여 구현 및 학습을 진행해본 게 큰 도움이 된 것 같습니다.
느낀점
솔직히.. 이 자격증이 어떤 의미가 있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취득은 하였지만, 실무에 어떤 쓸모가 있을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저는 데이터 분석 과목의 여러 알고리즘을 리마인드 한 정도인 것 같습니다.
만약 준비하실 때 어렵다면, 과년도 문제를 집중공략하시는 걸 추천하지만, 이 방법은 자격증만 가질 뿐 어떠한 가치도 없다고 생각됩니다. 최대한 이론과 함께 실무도 준비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hub Action] 원하는 경로에서 Step 수행하기 (0) | 2022.10.05 |
---|---|
[Jenkins] cert problem (0) | 2022.03.22 |
Ubuntu - terminator 설치 후 vertically split 문제 (0) | 2022.02.10 |
Github Action - GameCI 이용하여 Unity 프로젝트 빌드하기 (0) | 2022.02.05 |
Github Action #2 - 예제 분석하기 (0) | 2022.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