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Naver에서 Deep-Learning 기술을 이용한 서비스가 하나 발표되었습니다.
그 전에도 Naver에서는 위 기술을 이용하여 여러 곳에 접목하고 다양한 서비스를 출시 및 출시할려는 모습이 자주 보였었는데요, 이번에는 Deep-Learning을 영상처리에 접목하여 지식인 카테고리 분리시 더 쉽게 빠르고 가능한 서비스를 출시하였습니다.
Deep Learning이 뭐지..? 라고 궁금해 하실 분들이 많으실 텐데요 ^^ 간단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딥 러닝은 기계학습 방법 중 하나 입니다. 먼저, 기계학습이란, 인공지능의 한 분야로 컴퓨터가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알고리즘 들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사람과 다르게 컴퓨터들은 어떠한 사진이나 다른 언어, 음성 등 사람들은 쉽게 이해하고 판단할 수 있는 것에 대해 어려운 점이 많습니다.
사람에게 강아지, 소, 고양이, 꽃 등의 사진을 보여준다면 이것이 무슨 물체인지 손 쉽게 판단할 수 있지만, 컴퓨터는 그렇지 못하다는 거죠. 그냥 1,0으로 이루어진 숫자로 밖에 인식하지 못 합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컴퓨터의 인식적인 부분 즉,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컴퓨터를 학습시키는 방법이 기계학습입니다.
사람들도 학습을 하며 여러 학자들에 의해 다양한 교육법들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이것과 마찬가지로 컴퓨터 또한 어떠한 주제에 대해 학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적용하는 것이지요.
그 중 딥러닝은 최근에 가장 각광받는 기계학습 알고리즘 중 하나입니다. 사물 또는 데이터를 군집화 또는 분류하는데 그 정확도가 매우 높다는 것이지요. 기본적으로 딥러닝은 신경망 알고리즘(사람의 신경을 본 따 만든 알고리즘)을 기초로 하고 있습니다. 신경망 알고리즘은 정확도는 높지만 그 결과에 대해 판단 또는 분류를 해내기 까지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단점과 과적합(overfitting)에 대한 여러 해결되지 않은 문제점들이 있엇습니다.
하지만, 딥러닝은 심화신경망(Deep Neural Network)으로 불리는데요, 정확도도 우수하지만 그 속도와 여러 문제점을 개선하면서 여러 문제점으로 외면받던 신경망 알고리즘을 다시 부상시켰습니다.
이번에 네이버에서 출시한 서비스는 이러한 딥러닝이 적용한 지식인 분류 시스템 입니다.
네이버 랩스의 사례를 인용해서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여러분의 반려동물이 아파서 지식인에 질문을 합니다. 하지만, 이 때 질문과 더불어 질문에 맞는 카테고리를 선택해야 하는데요, 이 부분에서 많이들 고민하게됩니다. 카테고리가 너무 많아 세세하게 찾아보기도 시간이 걸리고, 귀찮다는 단점까지요.
그래서 질문과 관련된 사진을 첨부하면 자동으로 카테고리를 분류하는 방식을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사진 출처 : http://blog.naver.com/kin_friend/220152303903)
위 사진을 보시면 좀 더 쉽게 이해하실 텐데요, 두가지 예제가 있네요, 하나는 원예, 하나는 의류에 관련된 지식인 질문입니다. 이때 카테고리 분류가 힘들다면 관련된 사진 첨부하면 위와 같이 바로 관련된 카테고리를 추천해 주는 것입니다.^^
현재 이 서비스는 모바일 웹에서만 지원하고 있구요, 추후에 더 크게 다양한 곳에 적용되고 더욱 많은 서비스에 적용될 것 같습니다.
이러한 기계학습 분야의 발전과 접목된 서비스의 상용화로 인해 분명 더 컴퓨터는 진화하고 발전하겠죠?? 진정한 생각하는 컴퓨터를 기다려봅니다!
관련 서비스에 대한 정보는 아래 URL을 참고해 주세요.!
첨부한 사진을 인식해서 질문을 알맞은 디렉토리에 배달해드립니다 ~ ^^
[출처] 첨부한 사진을 인식해서 질문을 알맞은 디렉토리에 배달해드립니다 ~ ^^ |작성자 지식낭자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