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 프린팅은 연속적인 계층의 물질을 뿌리면서 3차원 물체를 만들어내는 제조 기술입니다. 3D 프린팅 기술이 보편화되면서 전 세계의 메이커들은 열광하게 되었으며 더욱 완성도 높은 메이킹 제품들을 만들어내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메이커 열풍은 계속 확산되고 있습니다. 또한 의료, 산업, 의류, 음식 등 각 분야에서도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3D 프린팅 기술은 점점 발전하고 있지만 명확하게 기술적 한계 또한 존재합니다. 프린터의 크기가 커질수록 비용이 크게 증가함은 물론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의 소재가 많지 않으며 특정 영역에서 한정되어 물체 생성이 가능합니다. 이 말은 일정한 크기의 판넬이 존재하여 그 위에 계층을 쌓아올리는 방식 또는 3D 프린팅의 하드웨어적 크기의 최대 길이에 따라 만들 수 있는 제품의 크기의 한정적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크기적 제한, 축이 되는 판넬의 한계를 벗어난다면 무궁무진한 발전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가까운 미래에 이러한 한계가 사라진다면 어떻게 될까요? 그렇다는 가정하에 미래 기술에 대해 몇 가지 생각해보고자 합니다. 아래 개인적인 생각은 각 분야의 지식을 알지 못하여 어떤 문제가 있을 지 모르니 개인적인 의견으로 받아들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지금까지 특정 공간 내에서만 생성가능하던 것들이 그렇지 않아질 때, X,Y,Z축에 대한 자유도가 주어진다면 여러분들은 어느 부분에 사용할 것 같나요? 저는 개인적으로 플렉시블 드라이버에서 아이디어를 얻었습니다. 플렉시블 드라이버는 전동 드라이버에서 사람의 손이 닿지 않거나 작업이 어려운 공간에서 도움을 주는 좋은 도구입니다. 이처럼 플렉시블한 도구를 3D 프린팅 기술과 접목하면 어떨까요? 사용 예를 생각해봅시다. 하수관 부품 중 일부가 파손된 경우가 있습니다. 파손된 위치가 사람의 눈으로 보이고 손이 닿여 작업이 가능하다면 물론 그렇게 하겠지만, 바닥에 콘크리트로 매워진 지역이라면 콘크리트를 모두 들어내고 작업을 하는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해당 위치에 특정 크기의 구멍을 뚫고 플렉시블 도구를 삽입하여 파손된 위치에 바로 메꿀수 있는 모양을 생성하여 작업을 할 수 있다면 바닥을 드러내는 추가적인 작업을 필요없을 것 같습니다. 이 예시처럼 생성 후 생성 제품을 이용한 작업을 하는 것이 아니라 작업이 필요한 곳에 바로 생성을 한다면 훨씬 적용 가능한 분야가 많을 것 같습니다. 의료분야 또한 적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지금은 인공관 삽입등의 기술은 외부에서 인공관을 생성하고 수술을 통해 몸 내부에 삽입하고 있습니다. 인공관 자체의 생성을 몸 내부에서 직접 생성하면 어떨까요? 수술이 훨씬 편할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그래왔으닌깐요. 그 전에 인체에 무해한 재질과 작업 시 위험하지 않다는 점은 보장되어야 겠지만요, 이러한 부분은 인간이 충분히 극복하고 해낼 수 있을 거라 믿습니다. 현재 적용하기엔 불가능 하지만 미래의 적용 가능 기술에 대해 좀 더 생각해봅시다. 로봇 청소기와 3D 프린팅 기술의 접목은 어떨까요? 아이가 있는 집에서는 아이가 다치지 않도록 가구의 각 모서리에 스폰지 같은 제품을 붙여왔습니다. 하지만 실제 로봇이 돌아다니면서 위험요소가 되는 부분에 저런 스펀지를 생성해서 붙여준다면 사람이 놓치거나 신경쓰지 않아도 될 듯합니다. 스폰지가 뜯어진다고 하여서 다시 자동으로 붙여놓을 테닌깐요. 가구등의 판매에도 좋을 것 같습니다. 원하는 위치에 놓고 싶은 가구를 구매하면 로봇이 해당 위치에 직접 가구를 3D 프린팅으로 생성해 놓는 것 으로 말입니다.
앞에서 설명했던 여러 부분은 현재 기술력으로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만 곧 빠른 시일내에 각 분야에 적용될 것이라 믿습니다. 지금까지 거리적 제한이 사라진다면 이라는 가정하에 3D 프린팅 기술이 어떻게 발전할까 라는 개인적인 생각을 적어보았습니다. 인간의 기술은 예상보다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생활 곳곳에 지금도 퍼져나가고 있습니다. 3D 프린팅이 인간의 직접적인 삶에 꼭 필요한 기술이 될 미래를 기대해 봅니다.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hub Action #2 - 예제 분석하기 (0) | 2022.01.30 |
---|---|
Github Action #1 - 기본 용어 정리 (0) | 2022.01.30 |
개발자가 즐길 수 있는 영상 리스트 (0) | 2022.01.15 |
RSS 에 대해서 (1) | 2018.11.15 |
인공지능과 컴퓨터 그래픽스의 조합 (0) | 2018.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