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ftware Architecture/Requirement Engineering

[Requirements Engineering] #3 Feasibility

Linuxias 2019. 1. 11. 09:27
반응형

Feasibility Study


Why a Feasibility Study?

Feasibility(실행가능성)는 시스템 개발 프로젝트를 할 수 있는지 없는지는 판단하기 위함입니다. 프로젝트 시작 전 이 프로젝트를 우리가 할 수 있는가? 다른 가능한 대안이 있는가?에 대해 질문을 던지는 것입니다. 위 질문을 답하기 위해 충분한 정보를 수집하여 알고있어야 합니다. Feasibility Study 이후에 이 프로젝트의 START/STOP 여부를 결정하게 됩니다. 


Content of Feasibility Study(실행가능성 판단을 위한 컨텐츠)

Feasibility 판단을 위해 파악해야 할 항목은 여러 가지입니다. 항목은 아래 리스트를 참고하세요.

- 존재하는 시스템들

- 현재 시스템의 문제

- 새로운 시스템을 위한 목표와 기타 요구사항

- 제한사항 : NFR 포함

- 가능한 대체방안 : 문제 해결을 위한 다른 방안

- 대체 방안의 강점과 약점



Four Types of Feasibility

위 4가지 항목이 Feasibility를 확인 시 확인해야 할 요소들 입니다.


Technical feasibility

현재 기술로 이 프로젝트 진행이 가능한다. 기술적 위험은 무엇이 있는가 등을 파악합니다.


Schdule feasibility

제 때에 솔루션 제공이 가능한가? 일정 지연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무엇인가? 일정 상 어떤 제약사항이 있는가 등을 확인합니다.


Economic feasibility

주어진 자원(예산 등) 제한 내에 프로젝트 진행이 가능한가? 프로젝트 진행 시 이익이 무엇인가? 등을 확인합니다.


Operational feasibility

만약 시스템이 개발되었다고 가정하에 사용자들이 사용할 것인가? 사회적, 인간적 문제들을 파악해야 합니다. 관리적인 측면이나 사회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프로젝트인지, 법적인 문제는 없는지 등을 확인합니다.


Feasibility는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진행을 할지 말지에 대한 여부를 결정하기에 중요한 단계 중 하나입니다. 꼭 필요한 정보를 충분히 수집한 이유 검토가 필요함을 명심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